본문 바로가기
정보

에어컨 고장! LG 에어컨 에러코드,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by a10sfjsajlfkjasf 2025. 9. 15.

에어컨 고장! LG 에어컨 에러코드,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목차

  1. LG 에어컨 에러코드, 왜 알아야 할까요?
  2. 가장 흔한 에러코드, 이것만 알면 끝! (A5, C5, CH05, CH10 등)
  3. 에러코드별 맞춤형 해결 방법
    • 에러코드 00~09
    • 에러코드 10~19
    • 에러코드 20~29
    • 에러코드 30~39
    • 에러코드 40~49
    • 에러코드 50~60 이상
    • 에러코드 70~80 이상
    • 에러코드 90~99
  4. 자가 해결이 어렵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는 방법
  5. 에어컨 에러코드 예방을 위한 팁

LG 에어컨 에러코드, 왜 알아야 할까요?

무더운 여름, 갑자기 에어컨이 작동을 멈추고 삑삑 소리와 함께 알 수 없는 숫자들이 나타나면 정말 당황스럽죠. 이게 바로 에어컨 에러코드입니다. 에어컨은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그 원인을 숫자로 표현해 사용자에게 알려줍니다. 이 숫자의 의미만 제대로 파악하면 간단한 문제는 서비스 기사를 부르지 않고도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모컨 배터리가 방전되었거나 필터가 막혔을 때 발생하는 에러코드를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은 시간과 비용 낭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은 LG 에어컨 사용자들이 에러코드를 정확히 이해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가장 흔한 에러코드, 이것만 알면 끝! (A5, C5, CH05, CH10 등)

LG 에어컨 에러코드는 매우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몇 가지 코드는 미리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 CH05 (C5): 실내기와 실외기 간 통신 에러를 의미합니다. 전원이 불안정하거나, 연결선에 문제가 생겼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 CH10: 실내기 흡입부 센서 이상입니다. 실내 공기 온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CH21: 실내기/실외기 전압 이상입니다. 전압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또는 순간적인 정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CH22: 실내기/실외기 전류 이상입니다. 냉매 부족이나 압축기 과부하 등으로 인해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를 때 나타납니다.
  • CH44: 실외기 온도센서 이상입니다. 실외기 주변 온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해 발생합니다.
  • CH45: 실외기 토출 온도센서 이상입니다. 압축기에서 나오는 냉매의 온도를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 외에도 A1, A5 등은 특정 모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통신 에러코드입니다. 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CH 코드는 에어컨의 핵심 부품인 압축기, 센서, 통신 등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신호라는 점입니다.

에러코드별 맞춤형 해결 방법

각 에러코드에는 그에 맞는 해결책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요 에러코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에러코드 00~09

  • CH05 (C5) - 통신 에러: 가장 먼저 할 일은 에어컨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 5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켜는 것입니다. 일시적인 오류는 재부팅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해결되지 않는다면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선(전원선, 통신선)을 점검해야 합니다. 이 작업은 전문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 단계에서 해결되지 않으면 서비스 기사를 부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 CH09 - 인버터 통신 이상: 실내기와 실외기 간 통신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전원을 껐다 켜는 것이 첫 번째 해결책입니다.

에러코드 10~19

  • CH10 - 실내기 흡입부 센서 이상: 실내기의 필터가 먼지로 막혀 공기 순환을 방해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필터를 깨끗이 청소해 주세요. 청소 후에도 에러코드가 지속되면 센서 자체의 문제일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12 - 실내기 흡입부 온도 센서 이상: CH10과 유사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필터 청소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 센서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에러코드 20~29

  • CH21 - 실내기/실외기 전압 이상: 주변에 순간적인 정전이 있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전압이 불안정할 경우 발생합니다. 에어컨 전용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주변 전자제품과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CH22 - 실내기/실외기 전류 이상: 냉매 부족이 주요 원인일 수 있습니다. 자가 해결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LG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여 냉매 보충 및 점검을 받아야 합니다.

에러코드 30~39

  • CH32 - 압축기 과부하 (과열) 보호: 실외기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과열되었을 때, 또는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있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실외기 주변을 정리하고 그늘을 만들어 주세요.
  • CH33 - 압축기 고온 보호: 실외기 주변 온도가 너무 높거나 냉매가 과다하게 주입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역시 실외기 환경 개선이 우선입니다.

에러코드 40~49

  • CH44 - 실외기 온도센서 이상: 실외기 주변 온도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에어컨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보세요. 지속될 경우 센서 문제이므로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 CH45 - 실외기 토출 온도센서 이상: 냉매 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문제입니다. 이 역시 전원을 껐다 켜는 것으로 일시적 해결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에러코드 50~60 이상

  • CH53 - 실내기와 실외기 통신 오류: CH05와 유사한 통신 오류입니다. 전원 재부팅이 첫 번째 해결책입니다.
  • CH65 - 열교환기 센서 이상: 실외기 열교환기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코드입니다. 전문가 점검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에러코드 70~80 이상

  • CH72 - 콤프레셔 보호: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냉매 압력 이상이나 실외기 과열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실외기 주변을 확인하고 그늘을 확보해 주세요.
  • CH74 - 실내기 흡입부 온도 이상: 실내기 흡입 온도가 매우 낮거나 높아질 때 발생합니다. 필터 청소를 먼저 해보세요.

에러코드 90~99

  • CH90 - 전류 이상: 에어컨의 과도한 전류 사용 시 발생합니다. 전원 재부팅으로 해결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95 - 냉매 부족 또는 압축기 과부하: 이 경우 냉매 보충이 필요하므로 자가 해결이 어렵습니다.

자가 해결이 어렵다면? 전문가에게 도움을 청하는 방법

위에서 제시한 방법들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LG전자 서비스센터에 연락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특히 냉매 누출, 압축기 문제, PCB 기판 고장 등은 전문적인 장비와 기술이 필요하므로 절대 스스로 해결하려 하지 마세요. 에어컨 서비스 접수 시에는 에어컨 모델명과 발생한 에러코드를 정확하게 알려주면 더욱 신속한 상담 및 처리가 가능합니다. 모델명은 주로 실내기 측면이나 실외기 표면에 부착된 라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어컨 에러코드 예방을 위한 팁

에러코드는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평소 관리가 소홀했을 때 자주 발생합니다. 에러코드를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1. 정기적인 필터 청소: 최소 2주에 한 번씩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해 주세요. 필터가 막히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센서 오류나 과부하의 원인이 됩니다.
  2. 실외기 주변 정리: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없도록 항상 깨끗하게 정리해 주세요. 통풍이 잘 되어야 압축기 과열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적정 온도 설정: 너무 낮은 온도로 무리하게 에어컨을 가동하면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습니다. 실내외 온도 차를 5℃ 이상 두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전용 콘센트 사용: 에어컨은 전력 소모가 크므로 다른 전자제품과 멀티탭을 공유하지 말고, 벽에 있는 전용 콘센트에 직접 연결해 사용하세요.

이 글을 통해 LG 에어컨 에러코드를 마주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LG전자 서비스센터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해결책을 찾으시길 바랍니다.